The researcher and the sea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The researcher and the sea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분류 전체보기 (17)
    • 수산질병관리사 (4)
    • 수산생물 (7)
    • 대외활동 (1)
    • 실험 (4)
    • 연구실 (1)

검색 레이어

The researcher and the sea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NMR(핵자기공명분광법)이란? 쉽게 설명한 Chemical shift, 1D, 2D, HSQC, HMBC, TOCSY, ROESY, COSY

LC-MS, HRMS, UV 등으로 물질을 동정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 중에서도, 분자구조를 알아낼 수 있는 매우 강력하고 유용한 방법이 있다.가장 강력하다고 볼 수는 없다. 하지만 접근성이나 시료의 조건을 고려했을 때 NMR이 제일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.LC-MS, HRMS, UV는 추정만 가능하고,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건 NMR과 X선 결정학인데, X선 결정학은 말 그대로 물질의 '결정'을 'X선'으로 쪼아주는 것이다. X선 구조만 있으면 물질의 3차원 구조가 그대로 나오기 때문에 가장 직관적이다.하지만 결정을 만드는 조건이 굉장히 까다롭고, 설령 물질이 결정을 이루지 못한다면 절대 쓸 수 없다. 그리고 X선의 에너지로 인해 물질이 분해될 수도 있고, X선 결정학에 사용되는 기기는 굉장히 비싸고 ..

2025년 대학원 석사/석박사 컨택 - 시기와 방법

*이공계 대학원 기준으로 작성한 글입니다.* 곧 2025년 전기 대학원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이 컨택을 할 시기가 온다.보통은 전기 / 후기 나눠서 봤을 때 - 전기 입학컨택 및 면담 : 6~8월입시 전형: 9~11월 -후기 입학컨택 및 면담: 12~2월입시 전형: 4~6월 이런 식의 일정이 대부분으로 이루어진다.쉽게 봤을 때 입시 전형은 입학 2~3개월 전에 서류 접수가 시작되며, 면담은한 학기 전 방학에, 합격자 발표가 방학 중간에 진행되는 듯하다.전기 입학을 하려면 여름방학에 면담을 하고, 후기 입학을 하려면 겨울 방학에 면담을 하라는 얘기다. 이보다 더 이르거나 늦게 연락을 할 수는 있겠지만, 장단점이 극명하게 갈린다.이르게 연락했을 때의 장점은 자신이 이 연구실을 일찍부터 준비하고 있었다. 이 주..

물고기 성대의 가슴지느러미 - 날개와 손가락을 닮은 기조

어류에서 성대는 쏨뱅이목 양성대과의 물고기로, 특이하게 생긴 생김새로도 유명하며, 전세계에 고루 분포하고 있다. 주로 식용으로 사용되지만, 화려한 가슴지느러미와 무늬때문에 관상어로도 사육된다.우리나라에서도 수산시장과 아쿠아리움에서 볼 수 있다. '성대'라고 부르는 물고기는 한 종류이지만, 특이한 가슴지느러미를 가진 종들을 모두 통틀어 성대라고 부른다.'쭉지성대'라는 물고기도 있지만, 성대류와는 약간 생김새가 다르게 생겨 쏨뱅이목이지만 성대로 통칭해서 부르지는 않는다. (그런데 이름은 성대... / 심해어에 가까워서 발견되는 수가 많지 않으며 외관상 혼동할 여지가 없다. 영명은 Flying gurnard)밑성대, 달강어, 달재, 달갱이 등등 같은 양성대과의 다른 속인 물고기들도 외적인 특징은 모두 공유하고..

상어의 알 - 난생, 난태생, 태생

상어와 가오리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대표적인 연골어류이다. 은상어라는 특이하게 생긴 심해어류까지 해서 3종류만 현존하는 연골어류로 알려져 있다.연골어류는 고대어와 경골어류의 중간정도 단계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, 몸에 경골(딱딱한 뼈)과 부레가 없다.부레는 소화계에서 뻗어나와 가스가 채워지는 주머니인데, 이 기체가 주는 부력으로 깊은 곳과 얕은 곳을 오간다. 넙치처럼 바닥에 가라앉아있어야하는 어류는 부레가 퇴화되어있고, 민어같이 깊은 수심에 사는 어류의 경우 부레가 발달되어있어 이 부레로 소리를 낼 수 있고, 깊은 수심에 크기를 유지하고 있던 부레가 뭍으로 올라올수록 팽창해 일부 깊은 수심에 사는 어류들은 낚시로 낚았을 때 입 밖으로 풍선같은 부레가 튀어나오기도 한다. 분류학적으로도 일반적인 경골어류와 거리..

제주 인근 어류 - 강도다리, 강담돔, 돌돔

미리 밝히자면, 강도다리는 엄연히 제주 인근 어류는 아니고, 제주 내의 어류이다.강도다리는 넙치보다 크기가 작고, 세로로 더 길어 몸이 마름모꼴이다.요즘 제주도 내에 강도다리 양식장이 많아지고 있다.신규 양식장도 있겠지만, 다른 어종에서 어종을 변경한 사례도 꽤 있는 듯 하다.강도다리라는 이름에 걸맞게 강도다리는 담수가 섞인 물에서도 살 수 있다.학명이 Platichthys stellatus 여서 별을 연상할 수 있고, 일부 외국 논문을 한국에서 '별가자미'로 번역하는 사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산관련 종사자들이 이야기하는 별가자미는 '범가자미'의 방언으로 취급된다. 범가자미는 크기가 대광어처럼 크고, 강도다리의 배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에 검은색 줄무늬가 아닌 점박이 문양이 있다.범가자미는 우리나라와 일본..

  • 실험

    질량분석기(MS, Mass Spectrometry)란? 쉽게 설명한 MS1, ESI, Quadrupole, ToF, m/z 개념 정리 - 1편

    https://marine-researcher.tistory.com/7 LC-MS란? 쉽게 설명한 Liquid Chromatography-Mass Spectrometry 액체크로마토그래피-질량분석기 다양한 실험적 방법을 찾아보다 보면, LC-MS나 LC, HPLC, HRMS 등의 단어들을 쉽게 볼 수 있다. 하지만 관련된 교육을 듣거나 자세히 찾아보지 않는 한, 이 기기가 무엇을 하는 것인지 알기 어렵다.(내 marine-researcher.tistory.com 지난 글에서 언급했던 것은 LC-MS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었는데, MS를 거친 데이터를 해석하려면 MS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따로 2편에 나눠서 질량분석기에 대한 글을 작성하고자 한다. 1. m/z란? 질량분석기는 말 그대로 ..

  • 실험

    NMR(핵자기공명분광법)이란? 쉽게 설명한 Chemical shift, 1D, 2D, HSQC, HMBC, TOCSY, ROESY, COSY

    LC-MS, HRMS, UV 등으로 물질을 동정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 중에서도, 분자구조를 알아낼 수 있는 매우 강력하고 유용한 방법이 있다.가장 강력하다고 볼 수는 없다. 하지만 접근성이나 시료의 조건을 고려했을 때 NMR이 제일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.LC-MS, HRMS, UV는 추정만 가능하고,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건 NMR과 X선 결정학인데, X선 결정학은 말 그대로 물질의 '결정'을 'X선'으로 쪼아주는 것이다. X선 구조만 있으면 물질의 3차원 구조가 그대로 나오기 때문에 가장 직관적이다.하지만 결정을 만드는 조건이 굉장히 까다롭고, 설령 물질이 결정을 이루지 못한다면 절대 쓸 수 없다. 그리고 X선의 에너지로 인해 물질이 분해될 수도 있고, X선 결정학에 사용되는 기기는 굉장히 비싸고 ..

  • 수산생물

    따개비 해부하기 (Barnacle Dissection)

    따개비(Barnacle)는 바위나 선박 표면에 부착하여 사는 갑각류에 속한다. 보통은 조개류라고 생각하기 쉬운데, 사실은 단단한 집 안에 머리가 거꾸로 박혀있는 원시적 형태의 갑각류이다. 우리나라에서는 조무래기따개비, 고랑따개비, 흰줄따개비가 주로 관찰된다. 따개비는 멍게처럼 유생시기에는 자유롭게 돌아다니다가, 한 곳에 부착한 이후 성장하여 우리가 흔히 보는 모습이 된다. 이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 유생시기에는 모르다가 부착하여 자라면서 선박에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유해생물로 분류되며, 고래나 거북같은 활동성이 크지 않고 크기가 큰 대형 수산생물에 부착하여 자라기도 한다. 이러한 부착성 수산생물의 피해를 막기 위해 '방오도료'라는 것을 선박에 바르는데, 여기 함유되어있는 TBT(Tributyl-Tin)..

  • 수산생물

    물고기 성대의 가슴지느러미 - 날개와 손가락을 닮은 기조

    어류에서 성대는 쏨뱅이목 양성대과의 물고기로, 특이하게 생긴 생김새로도 유명하며, 전세계에 고루 분포하고 있다. 주로 식용으로 사용되지만, 화려한 가슴지느러미와 무늬때문에 관상어로도 사육된다.우리나라에서도 수산시장과 아쿠아리움에서 볼 수 있다. '성대'라고 부르는 물고기는 한 종류이지만, 특이한 가슴지느러미를 가진 종들을 모두 통틀어 성대라고 부른다.'쭉지성대'라는 물고기도 있지만, 성대류와는 약간 생김새가 다르게 생겨 쏨뱅이목이지만 성대로 통칭해서 부르지는 않는다. (그런데 이름은 성대... / 심해어에 가까워서 발견되는 수가 많지 않으며 외관상 혼동할 여지가 없다. 영명은 Flying gurnard)밑성대, 달강어, 달재, 달갱이 등등 같은 양성대과의 다른 속인 물고기들도 외적인 특징은 모두 공유하고..

  • 실험

    LC-MS란? 쉽게 설명한 Liquid Chromatography-Mass Spectrometry 액체크로마토그래피-질량분석기

    다양한 실험적 방법을 찾아보다 보면, LC-MS나 LC, HPLC, HRMS 등의 단어들을 쉽게 볼 수 있다. 하지만 관련된 교육을 듣거나 자세히 찾아보지 않는 한, 이 기기가 무엇을 하는 것인지 알기 어렵다.(내가 그랬다.) 그래서 학부 단계의 청자를 대상으로 LC-MS가 뭔지부터 LC, HPLC가 뭔지 알아보고자 한다. 1. 크로마토그래피란? 생각보다 크로마토그래피는 쉬운 개념이다. 왜냐하면 우리가 유치원~중학교때 이미 해봤던 것이기 때문이다. 종이를 길게 만든 다음 유성펜으로 끝부분에 점을 찍고, 점과 가까운 부분에 에탄올(손소독제같은 것)을 묻히거나 하면 에탄올이 퍼져나가면서 유성펜의 검은색 잉크가 형형색색의 다른 색들로 분리되는 것을 볼 수 있다. 실험을 다시 할 생각은 없고, 그림으로 그려왔는..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The Researcher and The Sea
The researcher and the sea © june523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